안녕하세요.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블로그. DreaMerZ-Note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라데온 RX 7700XT 를 구매한 후기를 기록하려고 합니다. 올해 초 (`25.1) 에 데스크톱을 구매하면서 당시 상황을 고려해서 라데온 RX 7700XT를 구매했습니다. 왜 구매하게 되었는 지, 그리고 현 (`25.5) 시점 출시되는 RTX 5060TI 와 기존 RTX 4060TI 와 얼마나 성능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 TL;DR
PC 구성 중에서 중요한 부품은 바로, 그래픽카드 입니다.
현재 그래픽카드 시장은 엔비디아가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저는 올해 초 데스크탑을 구매하면서 환율로 인해 엔비디아의 가성비가 없다고 판단해서 라데온 그래픽카드 RX 7700XT를 구매하였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라데온 실제 후기는 많이 없더라구요. 그래서 구매하게 된 이유와 실제 사용 중인 피드백도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 Why Choose ? 라데온 RX 7700XT 를 왜 사요?
* 구매 시기 : 25년 1월
사실 처음 구매하려고 한 제품은 RTX4060 과 RTX4060TI 이 었지만, 엔비디아 제품의 가격 급 상승으로 성능 대비 가격의 메리트가 있던 라데온 제품인 RX 7700XT 를 구매했습니다.
PC 구매를 `24년 11월부터 생각하고 있어서 적당한 제품으로 4060 라인 업을 선택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작년 말 계엄 상황과 트럼프 당선의 영향 때문인 지 환율이 계속 오르게 되었고, 그 영향 때문인 지 그래픽카드도 덩달아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엔비디아에서 50 라인 업 출시일이 얼마 남지 않아, 기존 40 라인 업 물량이 현저히 적어진 것도 영향이 있었습니다.
* 지금도 미쳐버린 환율이네요. (‘25.02.10 기준 1달러 = 1457원, ‘25.05.07 기준 1달러 = 1,393원)

참고하실 수 있도록, 다나와에서 조회한 ‘ 4060, 4060TI, 5060TI, RX 7700XT ‘의 가격 변화를 캡처해보았습니다.
제가 구매한 1월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아직도 RX 7700XT 제품이 엔비디아 60TI 라인 업과 비교해볼 만 한 것 같습니다. 1월에 비교할 당시 4060TI 가 49만원에서 60 만원 초반까지 상승했기 때문에 구매하기에 가성비가 너무 떨어진다고 판단했어요. 5060TI 가 출시될 것을 알고 있었지만, 지금과 같은 환율이 유지되면 60 만원 중, 후반에 가격이 형성될 것 같아 마냥 기다리는 것도 아깝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당시 가격의 변동이 거의 없던, 라데온 제품이 눈에 보였고 자연스레 벤치 점수부터 장점, 단점을 하나씩 파악하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비교한 라데온 제품은 RX 6800XT 와 RX 7700XT 였습니다. 두 제품 모두 50만원 중, 후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름 구매하기 괜찮은 금액이었습니다.
각 제품의 벤치 성능은 이어서 설명하겠지만, 거의 동일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제품들이라 저는 가격이 선택의 1순위가 되었습니다. 물론, 라데온이라는 제품의 드라이버 문제, 일부 게임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 등이 단점이지만, 최근 라데온의 드라이버 문제가 적어지고 있고 이슈가 발생하더라도 대응이 빠른 점과 제가 즐겨하는 게임이 다양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종 결정할 수 있었습니다.
| Why Choose ? 가격을 비교해보자. (4060 vs 4060TI vs 5060TI vs RX 7700XT)
하기 가격은 다나와에서 확인한 가격 그래프입니다.
** RTX 4060 : 39만(24.11) -> 44만(25.01) -> 48만(25.05)

** RTX 4060TI : 53만(24.11) -> 63만(25.01) -> 59만(25.05)

** RTX 5060IT : 67만(25.05)

** RX 7700XT : 55만(24.11 ~ 25.01) -> 61만(25.05)

| Why Choose ? 벤치마크를 비교해보자. (4060 vs 4060TI vs 5060TI vs RX 7700XT)
그럼 이어서 비교하는 4개의 제품에 대해 스펙과 벤치 점수를 확인해보겠습니다. 모든 제품을 구매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Pass Mark 사이트를 이용하면 비교적 일반화된 수치로 성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https://www.videocardbenchmark.net/
# 벤치 점수 비교
현 시점 5060TI가 출시된 지 얼마되지 않아 수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4060 을 제외한 제품의 벤치 점수가 거의 비슷합니다. 2% 내외 성능 격차가 확인됩니다. 물론, DirectX 의 버전에 따라 FPS 수치에 차이가 있습니다. DirectX 11 에서는 라데온 RX 7700XT 가 조금 더 Frame 이 더 나오고, DirectX 12 에서는 엔비디아 60TI 라인 업이 더 나은 Frame 수치를 보여줍니다. 아마, 시간이 지날수록 라데온도 DirectX 12 에서 Frame 에 안정화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 스펙 비교
스펙에서 눈의 띄게 차이나는 부분은 Mem 용량입니다. 60, 60TI 라인 업은 8GB 인 반면에 RX 7700XT 는 12GB 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60 TI 중 16GB 제품도 있지만, 해당 제품은 가격에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일하게 비교하기 어렵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눈에 띄는 부분은 전력 소비 (TDP) 입니다. 확실히 엔비디아가 전성비가 좋기 때문에 60TI 도 160W ~ 200W 정도로 확인되는 반면에, 라데온은 245W 로 동일 성능 대비 소비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 Why Choose ? 기대 이상인데, 라데온 RX 7700XT (3DMark)
실제로 라데온 RX 7700XT 구매해보니 3DMark 결과가 궁금해져서 CPU, RAM, GPU 모두 오버 클럭하지 않은 순정 상태에서 측정해보았습니다.
측정 결과, Direct 11 FireStrike 는 33,427점, Direct 12 Time Spy 는 15,608 점으로 측정 되었습니다. 사실 벤치마크 점수만으로 이 점수가 어느 정도 인지 체감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3DMark 에서 동일한 CPU 를 장착한 4060TI 의 점수와 비교해보니 10~12% 정도 높은 점수였습니다.
* CPU : 7500F
* RAM : ESSENCORE DDR5 32GB – 5200Mhz
* GPU : Radeon RX 7700XT 12GB


* CPU : 7500F
* GPU : Nvidia RTX 4060TI
* Reference : https://www.3dmark.com/fs/30956559


혹시 다른 CPU 라인 업과 벤치 비교가 필요하시면, 위 Reference 링크에서 조건에 맞게 검색해보세요. 결과적으로 RX7700XT 는 비교해보면 RTX 4060TI 보다는 10% 정도 성능이 좋고, RTX 4070 보다는 10% 정도 성능이 낮음을 알 수 있습니다. 벤치로만 살펴본 성능으로는 가격 대비 만족스러운 성능입니다. 4060TI(63 -> 58만원), 4070(83만원) 인 점을 고려하면 비슷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RX7700XT(56 -> 61만원) 제품이 가성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How to Set ? 언더볼팅하면 어떻게 될까?
언더볼팅은 영문 그대로 전압을 낮추는 세팅을 말합니다. 적절한 언더볼팅은 생각보다 좋은 퍼포먼스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전압이 낮아지지만 클럭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오버클럭의 효과를 볼 수 있고, 낮아진 전압 만큼 전력소비도 낮아지기 때문에 발열도 낮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언더볼팅의 효과는 라데온 그래픽카드에 적절합니다. 왜냐하면,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엔비디아와 비교했을 때 전성비가 기본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언더볼팅을 적용하게 되면 발열을 잡을 수 있고 그만큼 성능이 상승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라데온에서 언더볼팅 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 링크를 참고하세요.
| Final. RX 7700XT 장착 샷! 🙂
결과적으로 최종 구매 전까지 Youtube 리뷰와 퀘이사존 리뷰들을 많이 참고했고 저는 결국에 최신 제품인 RX7700XT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RDNA2 보다는 RDNA3 제품이 더 매력적이고, 출시된 지 1년정도 지났기 때문에 라데온의 고질병인 드라이버 이슈도 많이 줄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엔비디아 DLSS와 유사한 기능인 AFMF2 도 지원하기 때문에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막상 사용해보니,, 기대 이상이더라구요. 😆
다음 포스팅에서는 RX 7700XT 로 PoE2 플레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 기록해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제 데스크톱에 장착된 라데온 RX 7700XT 구성 샷 보시고,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Case :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View
